장남은 지난 2004년 사망한 이동진으로 서정귀의 딸 서옥로와 결혼, 1남2녀를 두었습니다
차남은 동훈으로 한화 김승연회장의 누나 영혜와 결혼, 4남을 두었습니다
3남 동익은 1남2녀, 4남 동욱은 SK쪽의 예원과 결혼 1남 1녀를 두었습니다
외동딸은 명신으로 정화섭과 결혼, 미국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제 이후락 장남 동진 부부의 부동산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동진 - 옥로 부부는 1975년 7월 15일
뉴저지 테너플라이의 7 GLENWOOD COURT의 부동산을
9만5천달러에 구입했습니다
이후락 장남 부부 197507.jpg -
이후락 부장의 큰 며느리인 옥로씨는 1979년 3월 30일
옥로 단독으로 테너플라이 블록 226 랏21의 부동산을
32만달러에 매입했습니다
이후락 장남 부부 197903.jpg -
이동진 - 옥로 부부는 1980년 12월 12일
하와이 호놀룰루 와이키키해변의 '이라카이 아파트먼트'의 1625호를
17만5천달러에 사들였습니다
이들 부부에 앞서 1980년 8월 외동딸 부부가 같은 콘도를 매입했었습니다
이들 부부는 하와이 콘도를 구입한지 한달도 지나지 않은
1981년 1월 7일 뉴저지주 알파인의 나대지 2필지를 구입합니다
1필지는 알파인 블록 39 랏 12J로 16만5천달러에 매입했으며
나머지 1필지는 알파인 블록 39 랏 12I 로 역시 16만5천달러였습니다
이후락의 외동딸 부부인 정화섭-이명신부부는 1975년과 1977년 집을 구입한뒤
부정축재자 발표직후인 1980년 7월부터 부동산 매입을 본격화합니다
신군부가 부정축재자를 발표한 것은 1980년 6월 17일,
이때 이후락은 울산의 학교등 모두 194억원을 환수당합니다
그러나 외동딸 부부의 미국 부동산 매입은 공교롭게도
부정축재자 발표로 재산을 환수당한 바로 그 다음달부터 급격히 늘어납니다
이후락 외동딸 부부는 1980년 7월 7일
뉴저지주 포트리의 221 메인스트릿 부동산을 매입합니다
매입단가는 22만5천달러였습니다
이후락 사위 정화섭 1980년대 1 -
이후락 외동딸 부부는 1980년 8월 25일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이라카이 아파트먼트 빌딩 1426호를 매입합니다
매입단가는 34만2천달러였으며 8만여달러를 먼저 지급하고
향후 3년에 걸쳐 매년 8만여달러를 납입합니다 [하와이 부동산 계약서는 이미 공개함]
이후락 외동딸 부부는 1980년 12월 15일
뉴저지 크레스킬 블록 210 랏 25와 랏 26등
나대지 2필지를 매입합니다
매입단가는 18만달러였습니다
훗날 이 나대지 2필지는 이후락 장남 이동진을 거쳐
우리가 잘아는 정치인에게 매도됩니다
이후락 사위 정화섭 1980년대 2 -
이후락 사위 정화섭은 1980년 12월 22일
이후락 장남 이동진과 공동명의로
뉴저지주 포트리 블락 4805 랏 3의 부동산을 매입합니다
매입단가는 11만5천달러였습니다
이후락 사위 정화섭 1980년대 2 -
이처럼 이후락 외동딸 부부는 부정축재자로 재산이 환수당한 다음달부터 시작해
1980년에만 4건의 부동산을 매입합니다
이 4건의 매입금액은 하와이 부동산의 전체금액을 합산한다면
87만달러에 달하는 것입니다
이후락 장남은 이동진으로 서정귀의 딸 서옥로[미국부동산 서류에는 '이옥로'로 표기됨]와 혼인합니다
이동진은 몇년전 작고했습니다 이후락의 장남 이동진-옥로 부부도 하와이에 콘도를 매입합니다
이들 부부가 매입한 콘도는 이후락의 외동딸과 사위인 정화섭-명신 부부가 매입한 콘도와 동일한 하와이 호놀룰루 와이키키해변에 인접한 ILAKAI APARTMENT 였습니다
이들 부부는 1980년 12월 12일 이 콘도의 1625호를 매입합니다 세금을 백75달러 납부한 것으로 미뤄 매입가는 17만5천달러입니다 이동진 이옥로 하와이 매입 매입계약서에 기재된 이들 부부의 주소는 7 GLENWOOD COURT, TENAFLY, NJ 07670 입니다 이 집에 대해서는 추후 알아보겠습니다
결국 정화섭-명신 부부가 1980년 8월 25일 이 콘도 1426호를 이동진-옥로 부부가 4개월뒤인 1980년 12월 12일 1625호를 구입함으로써 와이키키해변에서 가장 유명한 콘도였던 이라카이 아파트에 이후락 직계가족이 1980년 두채의 콘도를 매입한 것입니다
다른 고관대작들도 이 콘도를 매입했다는 소문이 무성합니다만 워낙 오래전이고 현재 소유주가 많이 바뀌어서 이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주택의 주소는 PO BOX 295, TAMARACK ROAD, ALPINE, NJ 로
알파인 다른 주택들처럼 번지 없이 사서함 번호로 표시됩니다
지적도상으로는 알파인 블록 22 랏 25입니다
대지가 2에이커, 약 2천4백여평인 이 주택의 가격은 3년전인 2006년 뉴저지 버겐카운티 정부가
고시한 공시가격만 3백78만천9백달러 입니다
공시가격이 시세에 한참 못미치는 점을 감안하면 현시세가 최소 6백만달러가
넘는다는 것이 부동산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이후락 사위 알파인 주택
또 이들부부는 MMGK LLC 라는 법인을 설립해 지난 2007년 4월 13일
뉴저지주 에지워터의 땅을 구입합니다
매입계약서에 기재된 MMGK LLC의 주소는 바로 이들부부의 알파인 집 주소입니다
이땅의 매입가격은 무려 6백90만달러 였으며 양도세만 8만9백여달러에 달했습니다
이후락 사위 엣지워러 2007
그이전인 1987년 이들 부부는 MONDA ASSOCIATES 라는 법인을 설립해
1987년 8월 24일 뉴욕 맨해튼 한복판의 빌딩을 매입합니다
이 빌딩의주소는 172 MADISON AVE, NEW YORK, NY 으로
매입가격은 무려 7백20만달러 였습니다
이후락사위 메디슨 건물 매입 1987
이 빌딩을 팔때 위임장서류를 통해 MONDA ASSOCIATE의 주인이
이후락의 외동딸 부부 정화섭-정명신[이명신] 임이 드러났으며, 매도서류에도 정화섭이라는 이름과 서명이 있으며
2002년 4월 2일 매도시 가격은 8백97만5천달러 였습니다
이 빌딩은 2007년 다시 다른 주인에게 팔리는데 그때 가격이
천5백90만달러였으므로 현시가가 천 7백만달러정도로 추산할 수 있습니다
"이후락씨는 자신이 중앙정보부자에 재직할때 사위인 정화섭을 1972년12월
국제문제 담당 국장으로 임명했다 박정희의 질책을 받고 물러나게 하기도 했습니다
또 미국정유회사인 G사가 1969년 8월 21일 스위스 유니언은행 서정귀씨[이후락 사돈] 명의로
20만달러의 리베이트를 송금하자 유니언은행은 이돈의 입금사실이 기재된 구좌명세서를
1969년 9월 2일 이후락의 사위인 정화섭에게 발송함으로써
이후락씨 사위인 정씨가 이후락씨의 부정축재 자금을 관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약 30년전인 1979년 박정희 시해사건이 발생하자 권력을 찬탈한 신군부는
이듬해 광주민주화운동이 발생하자 이를 덮기 위해 부정축재자 조사에 나서
1980년 6월 19일 권력형 부정축재자 10명에 대한 수사결과를 발표합니다
이 발표에 따르면 부정축재액은 김종필이 2백16억원, 이후락은 백94억원, 이세호 백 11억원등이었습니다
이후락과 관련해 1977년 로스앤젤레스에 빌딩을 매입했다는 소문에 대해 계엄사령부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이부분은 고위관리를 헐뜯기 위해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충 이러한 부분과 함께 부정축재 내역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저 또한 LA의 빌딩 매입소문을 듣고 확인을 진행중이지만
아직은 사위나 며느리 이름의 빌딩 매입 계약서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지난 1970년대 박정희 정권 당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 그는 권력의 중심에 있으면서 막대한 비자금을 빼돌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일요서울은 지난 호<7월 3일자 739호>를 통해 전 상업은행(현 우리은행) 지점장이었던 S씨가 이 전 부장 비자금 조성 의혹의 핵심인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후 일요서울은 S씨의 행방을 추적했다. S씨가 이 비자금 의혹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확인결과 S씨는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망증명서를 살펴보면 S씨는 1997년 10월 16일 위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었다. 이렇게 되면 직계 가족 등을 통해 아직까지 영향력을 잃지 않은 이 전 부장이 과거에 비자금을 얼마나 어떻게 빼돌렸는지 확인할 길이 없어진다.
그러나 S씨의 부인인 O씨는 남편이 아직 죽지 않고 어딘가에 살아 있다고 확신하고 있어 그 내막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놀라운 것은 O씨가 상당한 근거를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전 부장의 막대한 비자금을 둘러싸고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는 검은 커넥션. 그 실체를 가리고 있는 흑막을 들춰보았다.
S씨는 60년대 후반 전 상업은행 울산지점장을 거친 뒤 70년대 초 같은 은행 종로지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S씨의 부인인 O씨는 “남편은 전북이 고향이다. 그 지역에서 은행에 입사했다”며 “당시엔 일반적으로 은행지점장은 출신지역을 중심으로 자리를 옮기는데, 어느 날 느닷없이 울산으로 발령이 나서 의외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부인 O씨도 모른채 누군가에 의해 접수된 S씨 사망신고서 사본(왼쪽). 지인 결혼식장에 나타나 방명록에 이름과 부조금을 적었다. (오른쪽)
S씨 막대한 재산 빼돌려
S씨가 본격적으로 수상한 행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울산지점장이 되고 나서 부터다. 알 수 없는 어음을 수도 없이 발행하고 부동산을 사들이는데 열을 올렸다. 생활도 방탕해졌다. 가정을 돌보지 않고 나중에는 거의 집에도 들어오지 않았다고 O씨는 전했다.
O씨는 “그렇다고 집에 돈을 갖다 주는 것도 아니었다”며 “나는 약국을 운영하며 혼자 가정을 꾸렸다. 그리고 일수놀이와 부동산 투자를 통해 재산을 조금 모았는데 남편은 이것 중 일부를 빼앗아 가기도 했다”고 말했다.
S씨가 울산지점장으로 근무하는 동안 주로 이 전 부장의 재산증식과 비자금 조성 업무를 도맡아 한 것 같다고 O씨는 말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O씨는 이 전 부장의 전 운전기사로 실질적 자금 관리인으로 알려진 박모씨와 S씨와의 미스터리한 커넥션을 들었다.
O씨는 “남편은 은행지점장으로 근무하면서 상당한 재산을 모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의 호사스런 생활에 모든 사람들이 부러워했다. 주변인들로부터 남편의 재산이 서울 부동산 투자에 쓰였다는 소릴 자주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박씨가 소유한 강남의 빌딩들 중 일부는 남편으로부터 매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O씨는 이 과정에서 남편이 O씨의 재산까지 몰래 팔아치웠다고 분개했다.
O씨는 “남편이 자신의 재산만 팔아치웠다면 지금 와서 내가 문제 삼을 게 없다. 하지만 남편은 내가 애써 모은 재산까지 다른 사람에게 불법적으로 팔아넘겼다”며 “강남의 OO빌딩과 △△빌딩이 서 있는 땅 등은 분명한 내 재산이다. 내가 약국을 운영하며 재테크를 위해 사 놓은 땅을 남편이 나 몰래 팔아치웠다. 내 인감도장도 없고 내가 쓴 계약서도 한 장 없다”말했다.
O씨는 “나는 이 사실을 한참 세월이 흐른 후에야 알게 됐다”며 “그래서 남편으로부터 내 땅을 사들인 사람이 누구인지 일일이 찾아다니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계약서가 어떤 것인지 확인하고 다녔다”고 그 동안의 조사내용을 설명했다.
O씨는 이렇게 조사하는 동안 깜짝 놀랄 사실을 알게 됐다. S씨가 특정인 한 명에게만 부동산을 팔았으며 그 매입자는 다름 아닌 박씨였던 것이다.
박씨는 70년 초반과 중반에 걸쳐 집중적으로 강남땅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는 이 전 부장이 중앙정보부장으로 권세를 떨치고 있었고 S씨가 서울 종로지점장으로 근무할 때다.
O씨는 “박씨와 전화연결이 된 적 있어 내 땅을 어떻게 소유하게 됐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박씨는 S씨로부터 정당하게 매입한 땅이라고 주장했다”며 “이에 내가 ‘어떻게 내 땅을 그렇게 많이 가지고 있을 수 있냐. 그렇다면 그 계약서를 보자’고 말했다. 그랬더니 사본을 보내주겠다고 해놓고 아직까지 소식이 없다. 연락이 완전 두절됐다”고 말했다.
O씨에 따르면 이 전 부장의 집을 방문한 직후 박씨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는 것이다.
홀연히 사라진 S씨 어디로?
S씨는 언제부턴가 집에 아예 들어오지 않았다. O씨는 몇 번이고 서류상으로 부부관계를 정리하려 했으나 주변 친지들의 만류로 그렇게 할 수 없었다.
다만 S씨에 대한 소문은 계속 듣고 있었다. 1977년 은행에서 퇴직한 S씨는 상당한 호사를 누렸다고 O씨는 말했다.
수 년 전 O씨는 남편에 대한 소식 하나를 접하고 긴 한숨을 내쉬었다. 그 소식은 남편이 사망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남편에 대한 장례식은 없었다. O씨가 이 소식을 접했을 땐 이미 모든 장례절차가 끝나고 묘소가 만들어진 후였다.
O씨는 남편이 묻혔다는 묘소를 찾아가 보았다. 여기서 이상한 일이 발생했다. 묘소가 있다는 선산에 찾아 갔지만 어떤 묘소가 남편의 것인지 찾을 수가 없었다. 이에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지만 남편의 장례를 치렀다는 이들과 사망신고 증명인들의 말이 달라 어떤 게 진짜 남편의 묘소인지 찾을 수가 없었다.
자녀들에게 물어 보았으나 그들도 아버지의 묘소가 어디 있는지 몰랐다. 자녀들은 아예 아버지의 죽음에 관심조차 없어 보였다.
이에 남편의 시신을 매장했다는 이들을 찾아보았으나 그들이 누군지 알 방법이 없었다. O씨는 뭔가 일이 이상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판단, 사망증명서를 확인해 보기로 했다.
증명서엔 S씨가 전북 정읍 ○○면에 위치한 집에서 1997년 10월 16일 위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돼 있었다. 이상한 것은 사망신고 날짜다. 이 해에 사망한 S씨에 대한 사망신고는 2002년 4월에서야 이뤄져있었다. 신고인은 둘째딸인 A씨로 돼 있었다.
S씨와 O씨 사이엔 아들 2명과 딸 3명이 있다. 이들 중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자녀는 단 한명도 없다는 게 O씨의 주장이다. 그만큼 아버지에 대해 정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O씨는 사망신고 경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O씨는 “사망신고가 이뤄진 날짜도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많이 나고 A는 아버지 사망신고를 하면서 이 사실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았다”며 “그래서 다른 형제들은 아버지의 죽음을 몰랐다”고 말했다.
O씨는 둘째 아들이 써준 이에 대한 확인서까지 갖고 있었다. 확인서엔 A씨가 자신의 연락처를 알고 있었음에도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알려준 적 없어 직계 가족으로서 시신확인절차도 시행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O씨는 “나는 남편이 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증거도 있다”며 “남편은 재산문제와 관련해 박씨와 이후락씨 그리고 권력층 인사들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내 생각엔 어떤 목적을 위해 허위로 사망신고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사망 신고는 분명 거짓말
그는 한 장의 복사본 종이를 내밀었다. 그것은 97년 사망한 것으로 돼 있는 S씨가 98년 11월 가까운 지인의 결혼식장에 나타났다는 증거, 즉 방명록이었다. 그 방명록엔 S씨의 이름과 부조금액수가 적혀 있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사망신고를 한 A씨에게 확인해 보았다.
A씨는 어머니 O씨에 대한 증오심으로 가득했다. A씨는 친자식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어머니에 대해 험한 말을 쏟아내며 “그 여자는 돈에 미친 사람이다. 오직 돈 밖에 모른다”며 “아버지도 그 여자가 죽인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 여자는 아버지의 모든 것을 빼앗고 암에 걸리게 해 죽게 만들었다”고 격분한 음성을 토했다.
아버지 S씨의 사망신고에 대해 A씨는 “아버지를 돌봐주던 친척이 사망사실을 알려왔고 그래서 신고했다”며 “형제들에게 알리지 않은 이유는 그들과 사이가 좋지 않아 별로 알리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O씨는 “나는 평생 자식들을 홀로 키우며 버둥거리며 살아왔다. 남편의 도움을 받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며 “내가 남편을 찾아 나선 이유는 사실상 남남임에도 남편임을 내세워 내 재산을 편취한 남편으로부터 내 재산을 돌려받기 위해서다. 어떻게 내 땅이 권력층들의 손으로 넘어가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반드시 진실을 가려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O씨에 따르면 최근 S씨는 중국에서 목격됐다. 중국에서 S씨를 만난 O씨의 지인은 S씨가 건강하게 중국에서 잘 살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고.
한국관련 이슈에 대한 자료 수집과 공개를 통해 상식이 통하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합법적으로 입수한 자료를 무차별공개합니다. 원칙은 'NO EVIDENCE,NO STORY', 다운로드 www.docstoc.com/profile/cyan67 , 이메일 jesim56@gmail.com, 안보일때는 구글리더나 RSS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