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통령 후보

[미의회가 밝힌 박정희정권 스위스계좌 3] 박종규도 스위스 비자금계좌 별도관리 - 19만달러 예금인출선 서명은 '진' : 류재신-박동선 의회증언록등

프레이저보고서

박정희, 이후락뿐만 아니라 박종규도 스위스에 비밀계좌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미 하원윤리위가 코리아게이트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습니다. 이 계좌는 박종규가 미국쌀 수입관련 커미션등을 관리했던 계좌였기 때문에 이 계좌또한 박정희 정권차원의 스위스 비자금 계좌로 볼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제3의 스위스 비밀계좌입니다.


미 하원윤리위는 코리아게이트 청문회에서 박동선의 로비를 조사하던중 한때 박동선이 쌀중개권을 상실했던 사실을 밝혀내고 그 중개권을 다시 쟁취하는 과정을 살펴보다가 박종규가 관리하던 스위스 비밀계좌를 발견했습니다.


2012/09/27 - [분류 전체보기] - [미의회가 밝힌 박정희정권 스위스계좌 1] 박정희자금 이후락이 스위스계좌에 예치, 김성곤이 육영수에게 돈 상납 : 프레이저보고서

2012/10/07 - [대통령 후보] - [미의회가 밝힌 박정희정권 스위스계좌 2]걸프사,박정희방미자금 20만달러 스위스비밀계좌에 입금-UBS계좌번호는 626,965.60D: 스위스UBS입금전표,걸프사진술서등 첨부

2012/10/09 - [분류 전체보기] - 도망간 박근혜 조카사위 하와이별장은 바로 여기 - 노태우아들, 이명박 사돈총각도 같은 콘도 : 박영우 국감출석않고 하와이행?


박동선은 1968년말 미국쌀 중개권자로 선정됐다가 1970년말 공화당에 정치자금을 제대로 내지 않고 미하원 외국원조심의위원장인 패스만의원이 박동선을 싫어한다는 이유로 박종규가 쌀중개권을 박탈, 자신의 측근인 강선태에게 중개권을 맡겼습니다.

 

이때 박종규는 자신이 직접 쌀중개권을 관리, 그 커미션으로 정치자금을 조성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웠으나 박동선이 절치부심끝에 1년여뒤인 1972년 3월 21일 다시 쌀중개권을 쟁취하게 됩니다.


쌀중개권을 되찾는 과정에서 박동선은 미 상하원의원들을 동원해 박정희에게 편지를 보내게 하는가 물론 1972년 1월에는 미 하원의 아태소위원장과 미 하원의 외국원조심의위원장등 2명의 하원의원이 청와대를 방문해 박정희와 담판을 지음으로써 마침내 박종규에게 빼앗겼던 쌀중개권을 회복했고 바로 이때 미 하원의원과 박정희가 나눈 대화가 미국에 도청돼 1972년 2월 3일자로 키신저에게 보고됐었습니다. [FBI정보메모 2012/09/16 - [대통령 후보] - 안치용,‘박정희 대미로비 X파일’출판 : 미국의 청와대도청은 실재- 박정희 방탄차 알고보니 CIA가 제공 ]


박동선은 1972년 3월 21일 쌀중개권을 회복하면서 1971년 박종규가 정치자금명목으로 관리했던 쌀중개 커미션중 일부인 19만달러를 돌려받게 됩니다. 박동선은 김형욱과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등에게 이 돈이 미의원들에게 전달될 돈이라고 말했고 김형욱, 이후락이 중재에 나서 19만달러를 되찾은 것입니다. 1970년 박종규가 받은 쌀 커미션은 약 80만달러로 추정되지만 로비자금 19만달러만 박동선에게 되돌려 준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박동선이 19만달러를 인출하는 과정입니다. 김형욱은 박종규로 부터 서류 한장을 전달받아 박동선에게 전했으며 바로 이 서류가 박종규가 관리하던 스위스 은행 비밀계좌에서 19만달러를 인출해도 된다는 인출지시서였습니다. 이 한장의 서류로 박종규도 박정희 정권 비자금 명목의 스위스 은행 비밀계좌를 관리했음이 드러난 것입니다.


박동선은 1972년 3월 21일 쌀중개권을 회복, 조달청이 발급한 쌀중개인 지정서와 스위스은행 예금인출서를 들고 미국으로 온뒤 자신의 조지타운대학 동창이자 부하직원인 류재신에게 예금인출서를 주며 스위스로 보냈습니다. 류재신은 스위스로 날라가 해당 스위스 은행에 이 서류를 제시하고 19만달러를 박동선의 계좌로 송금한 것입니다.

박종규 스위스계좌관련 류재신증언록 - 1977년 10월 21일 증언 박종규 스위스계좌관련 류재신증언록 - 1977년 10월 21일 증언


류재신은 1977년 10월 21일 미 하원윤리위원회에 출석해 스위스 비밀계좌의 19만달러를 박동선의 계좌로 송금하는 과정을 상세히 증언했으며 이는 하원윤리위 '한국영향력조사' 청문회 부속보고서 1권 192페이지에 기록돼 있습니다.


류재신은 스위스에서 예금을 인출할때 인출서의 서명란을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불행히도 그 서명을 봤다'고 말했습니다. 류재신은 자세한 설명을 요청하자 '서명란에 딱 한글자의 한자가 적혀 있었으며 그 한자는 'JIN'[진] 이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류재신의 이같은 증언은 박동선이 1978년 4월 4일 하원윤리위원에서 밝힌 내용과도 일치하며 이 박동선의 증언은 하원윤리위 '한국영항력조사' 청문회 부속보고서 2권 80페이지에 수록돼 있습니다. 김형욱또한 상원윤리위 청문회에서 1978년 7월 10일 자신이 박동선이 19만달러를 돌려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 과정을 증언했으며 이 증언도 상원윤리위 '한국영향력조사' 부속보고서 2권 1108페이지부터 1110페이지에 기록돼 있습니다. [하단 첨부파일 참조]

 

박종규가 관리하던 이 스위스 비자금계좌도 박정희 정권의 제3의 스위스 비밀계좌로 추정됩니다. 그 이유는 박종규가 쌀커미션을 정치자금으로 활용한다는 명목하에 고위층허락을 받고 박동선에게서 쌀중개권을 회수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계좌는 고위층이 그 존재를 알았던 정치자금 관련 스위스은행 비밀계좌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이 인출서에 나타나는 서명 '진'은 누구의 서명일까요, 하원윤리위원회도 끝내 이 서명이 누구의 서명인지는 밝히지 못했지만 이 계좌가 박종규가 관리하던 계좌라던 사실은 밝혀냈습니다. 박종규가 관리한 박정희 정권의 제3의 스위스 비밀계좌, 이 계좌도 낱낱이 밝혀내야 합니다.

 

박종규의 계좌가 스위스 어느 은행에 개설돼 있었는지는 내일 또 알아보겠습니다.


박동선증언 박종규돈 인출관련_new
 
김형욱 박동선증언 19만달러 되찾은 경위_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