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언론보도

인혁당사건 조작아니다- 실존지하당 : 박범진 충격증언


2005년 노무현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과거사위)'가 '(박정희) 정권의 짜맞추기'라고 결론 내렸던 1964년 제1차 인혁당(人革黨) 사건의 인민혁명당이 국가 변란을 목적으로 실제로 존재해 활동했던 지하당(地下黨)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원본출처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6/29/2010062900158.html?Dep1=news&Dep2=headline1&Dep3=h1_02

이는 "인혁당은 혁신계가 모인 서클 모임이었을 뿐"이라는 2005년 국정원 과거사위의 조사 발표를 정면으로 뒤집는 것이다.

민주당과 옛 신한국당 국회의원을 지낸 박범진(70) 전 한성디지털대 총장은 최근 명지대 국제한국학연구소가 출간한 '박정희 시대를 회고한다'에 수록된 증언록에서 "(1960년대 초) 나 자신이 인혁당에 입당해서 활동했다"며 "인혁당은 (중앙정보부의) 조작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 증언은 2007년 비공개 학술회의에서 이뤄진 것을 이번에 책으로 펴냈다.

박 전 총장은 증언록에서 "제가 입당할 때 문서로 된 당의 강령과 규약이라는 것을 직접 봤고, 북한산에 올라가서 오른손을 들고 입당선서를 한 뒤 참여를 했다. 서울대학교 재학생으로는 (나를 포함해) 5명이 참여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첫 번째 인혁당 사건은 제 자신의 체험으로 볼 때 실재했던 사건이었으나 정부 당국이 (물증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 객관화하는 데 실패해서 조작사건처럼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데에 대해 그때 참여했던 한 사람으로서 마음이 괴로웠다"라고 밝혔다.

1964년 8월 '북한의 사주를 받아 국가 변란을 기도했다'는 중앙정보부 발표로 시작된 제1차 인혁당 사건에서는 주요 관련자 13명이 징역 1~3년 실형이나 집행유예 선고를 받았다. 당시 박 전 총장은 이 사건과 관련해 중정에서 조사를 받았으나 기소되지 않고 풀려났다.

박 전 총장은 28일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서울대 정치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63년 봄 인혁당에 입당했다"며 "당시 인혁당의 강령 내용은 '민족 자주적인 정권을 수립해서 북한과의 협상으로 통일을 시도한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당시 중앙정보부가 인혁당을 '국가 변란을 기도한 지하조직'이라고 규정했던 것에 대해서는 "그 말이 맞다"고 했다.

박 전 총장은 또 "인혁당은 조직망과 활동 방식에서 전형적인 좌파 혁명정당의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위에서 아래로 점(點)조직을 관리하는 비밀조직이었기 때문에 하부에선 상부에 누가 있는지도 몰랐고, 나중에 사건이 불거지고 나서야 알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국정원 과거사위 발표에 대해선 "(과거사위 발표대로) 만약 이념서클이었다면 구성원끼리 누가 누구였는지는 알았어야 할 게 아니냐"며 "그 사람(과거사 위원)들이 제대로 조사할 능력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총장은 "떳떳한 모임이었다면 공개적으로 하지 뭐 하러 지하당을 만들었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의 지령 여부에 대해선 "(북한과) 직접 연결됐던 것 같지는 않고 자생적인 모임이었다"고 했다.

그러나 박 전 총장은 "1974년의 인혁당 재건위 사건(2차 인혁당 사건)은 완전히 별건(別件)으로, 거기에 대해선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2005년 당시 국정원 과거사위의 민간위원 간사를 맡았던 안병욱 가톨릭대 교수는 "그때 발표했던 내용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한다. 우리가 냈던 보고서를 참고하라"고 말했다.